1. 우선 찾아보니 자료가 많지는 않습니다. 그리고...
모순된 내용이 다 나오더군요. 1) 우리역사넷은 정부 사이트이고, 2) 그 아래 나무위키 자료에서 근거로 링크한 페이지도 정부 역사 관련 사이트라 역시 신뢰할 만하구요.
15부 - 우리역사넷
발해에는 15부가 있었으며, 각 부에는 장관인 도독(都督)이 파견되어 하위의 여러 주(州)들을 관리⋅감독하였다.
https://contents.history.go.kr/front/tg/view.do?treeId=0209&levelId=tg_001_0380&ganada=&pageUnit=10
발해/행정구역 > 2. 체계 - 나무위키
부족한 기록들을 살펴보면 실제 발해의 통치는 '수령', '대수령'으로 호칭된 전국 지방세력이 자치를 인정하는 형태로 간접 통치하는 범위가 넓었다고 본다.
https://namu.wiki/w/%EB%B0%9C%ED%95%B4/%ED%96%89%EC%A0%95%EA%B5%AC%EC%97%AD#s-2
2.
일단 자료가 많지 않아서리 소설이라도 쓴다면
1) 발해는 직접통치가 가능한 지역과 간접통치하는 지역이 나눠져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. 수도 근처는 아무래도 직접 행정관(도독)을 파견하고, 먼 철리부나 흑수 말갈지역은 그 부족의 수장에게 통치/행정을 맡기지 않았나 싶습니다.
2) 고려시대 탐라(제주)를 보면 초기에는 그 지역 유력자에게 통치를 맡겼고, 후기에는 직접 지방관을 파견했습니다. 영국 해외 식민지를 보면 총독이 그 지역 최고 수장인 경우도 있는 반면, 극단적 예이지만 독립국인 호주, 캐나다처럼 영국 총독이 형식적으로 있는 경우도 있죠.
3) 중3이나 고교 과정에서 이렇게까지 자세히 배울 필요가 있나 싶긴 합니다. 제 생각이지만 확실한 자료가 아니라면 중고등에서 배울 필요까지는 없고 참고 정도만 알아도 되지 않나 생각은 듭니다. 그냥 15부에 도독 정도까지만 알아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 그 이상은 대학교 가서 배우는 게 ㅎㅎ